본문 바로가기

경제

(37)
부동산 없이 부동산 중개 / 복비아끼기 출처: https://brunch.co.kr/@buildingking/22 15화 부동산 없이 직접 계약하는 게 더 좋은 이유 직접 계약할 때 장점 세 가지 | 7년여 째 건물을 운영하면서 부동산을 끼고 계약해본 게 10번도 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이 중 딱 한 번 만이 부동산에서 세입자를 찾아주고 계약까지 완료한 경우 brunch.co.kr 이분의 글이 너무 좋아서 퍼왔다.
전세보증보험 정리 / 가입 의무화 관련 국토교통부에도 질의해보고, 여러 정보를 찾아본 결과 도시임대업자와 거래할 경우 2020년 8월 18일 부 부터 75대(임대인) 15(임차인)로 전세보증보험가입이 의무화 되어있다. * 관련 법령: 위반시 최고 2000만 원의 벌금 또는 최장 2년의 징역형 또한, 추가적으로 2021년 8월 18일 부터 개인 임대인들에게도 의무가입을 지시하였기에, 상대적 약자인 세입자들에게 더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관련 법령: 동일 // 위반시 최고 2000만 원의 벌금 또는 최장 2년의 징역형
부동산계약시 가계약금은 어떤 효력이 있을까? 뉴스를 보면, 현 시점 부동산이 폭등하는 추세에서 집값이 오르는 것을 기대한 집주인이 계약금 2배를 돌려주며 가계약을 파기한 경우도 있다. 가계약금에 관한 법원판결을 보면, 2억 7천만 원의 매매 대금 중 가계약금 300만 원을 지급하였다가 매수인의 사정으로 계약을 파기한 사안에서, “매매의 가계약을 체결하고 가계약금을 수수하는 것은 매수인에게 다른 사람에 우선하여 본계약을 체결할 수 있는 우선적 선택권을 부여하고, 매도인은 이를 수인하는 데 본질적인 의미가 있으므로, 가계약제도는 매도인보다 매수인을 위한 장치이다. 매수인을 위한 사전 장치라 볼 수 있다. 출처: https://www.m-economynews.com/mobile/article.html?no=31087
금리 상승기 투자전략 / 유동성 장세가 끝이나면? 210729 Zeitung 금융주 매수 고배당주 매수 금리 상승 후: 저가매수 Buchen 우량채권매수 채권 매수는 위험하다 - 채권 가격이 하락하기 때문 단기채권, 하이일드 정도가 유리하다. Zeitung 부동산 비우량 부동산은 타격이 심하다 금리가 오르면, 유동성이 회수되기 때문에 주가가 떨어진다.
미국 고배당 ETF 추천 / 배당률 5퍼센트가 넘는 ETF SPHD는 invesco에서 취급하는 고배당 ETF로 엑손모빌 등 고배당주 위주로 구성되어있다.
미국 운용자산 운용자산액 상위 10 ETF(2021년 4월 기준) https://whashington.tistory.com/254 미국 ETF 운용자산 순위(2021년 4월) 오늘은 2021년 4월 현재 미국 ETF 운용자산 순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ETF에 운용자산이 많을수록 안전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투자의 목적은 자본을 이용해 수익을 얻기 위해서입니다. 수익을 whashington.tistory.com
대세는 농작물이다 미국 농작물 etf 출처: https://www.google.com/amp/s/korealtyusa.com/%25EB%25AF%25B8%25EA%25B5%25AD-%25EB%2586%258D%25EC%2582%25B0%25EB%25AC%25BC-etf/amp/ 미국 농산물 ETF 정리 (DBA, MOO, 농산품, 곡물 관련 투자) • 코리얼티USA 최근 이상 기후와 세계 인구 증가로 농산물 수급 불균형 문제가 거론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농산품이나 농업 분야에 투자를 고려하는 분들이 많은데요. 관련하여 미국 농산물 ETF 종류와 장단 korealtyusa.com 기후변화가 발생하면, 농산물 etf가 핫해질 것이라 조심스래 전망한다.
미국 ETF 종류 / 고배당, 성장형, 시장추종 등 출처: https://iot-lab.tistory.com/m/63 미국 ETF의 10가지 종류와 대표 ETF 최근 해외투자에 관심을 많이 갖고 있습니다. 그중에서 소액투자도 가능하고 글로벌하게 투자할 수 있는 미국 ETF의 10가지 상세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각 ETF 종류별로 여러 상 iot-lab.tistory.com 다음 링크를 보면 잘 정리되어있다. 참고하면 되겠다.